to부정사(명사, 형용사, 부사, 의문사 to부정사, 진주어, 진목적어, 목적격보어) 개념과 예문 공부
영어 공부를 하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to부정사입니다. 하지만 막상 to부정사의 뜻과 용법을 정확히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죠. 오늘은 to부정사의 기본 개념부터 다양한 쓰임새, 그리고 실전 예문까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to부정사란 무엇일까?
to부정사란, 동사 앞에 'to'를 붙여서 '동사원형'을 명사, 형용사, 부사처럼 사용하는 문법입니다. 쉽게 말하면, 'to + 동사원형' 형태를 통해 문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죠.
조금 더 쉽게 이해하면, 우리말에서도 비슷한 개념이 있습니다. 우리말에서도 동사 끝부분의 어미를 바꿔서, 원래 동사였던 단어를 명사나 형용사, 부사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먹다'라는 동사에 어미를 붙여 '먹고 있는'이라고 하면 형용사가 됩니다. 이처럼 영어에서도 원래 동사였던 형태를 변형해 명사, 형용사, 부사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로 to부정사입니다.
참고로 '부정사'라는 말은, 한자어로 풀이하면 '아닐 부(不)', '정해질 정(定)', '품사 사(詞)'를 뜻합니다. 즉, 품사가 하나로 정해져 있지 않아서 명사, 형용사, 부사 세 가지 역할을 모두 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예시:
임- I want to eat pizza. (나는 피자를 먹고 싶다.) 진
- She has a lot of homework to do. (그녀는 해야 할 숙제가 많다.)
to부정사의 3가지 주요 용법
1. 명사적 용법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
to부정사가 문장에서 명사처럼 쓰이며,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합니다.
예시:
- To study English is important. (영어를 공부하는 것은 중요하다.) [주어]
- He wants to become a doctor. (그는 의사가 되고 싶어 한다.) [목적어]
- My dream is to travel the world. (내 꿈은 세계를 여행하는 것이다.) [보어]
2. 형용사적 용법 (명사를 수식)
to부정사가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할 때를 말합니다.
예시:
- Chair to sit on (앉을 의자)
- Place to stay in (머물 곳)
- Room to sleep in (잘 방)
- Space to put things in (물건을 놓을 공간)
- Table to write on (쓸 테이블)
- Food to eat with (먹을 음식)
- Park to walk in (걸을 공원)
- Station to arrive at (도착할 역)
- Meeting to attend (참석할 회의)
- People to talk to (이야기할 사람들)
- Book to read at night (밤에 읽을 책)
- Letter to respond to (답장할 편지)
- Message to reply to (응답할 메시지)
- Task to complete (완료할 작업)
- Questions to answer (대답할 질문들)
- Project to work on (작업할 프로젝트)
- Job to apply for (지원할 직업)
- Event to participate in (참여할 행사)
- Class to attend (참석할 수업)
- Company to work for (일할 회사)
3. 부사적 용법 (동사, 형용사, 부사를 수식)
to부정사가 동사나 형용사, 부사를 꾸며줄 때입니다. 주로 이유, 목적, 결과, 조건 등을 나타냅니다.
예시:
- He works hard to succeed. (그는 성공하기 위해 열심히 일한다.) [목적]
- I am happy to see you. (널 만나서 기뻐.) [감정의 원인]
- She grew up to become a teacher. (그녀는 자라서 교사가 되었다.) [결과]
의문사 + to 부정사: 명사구처럼 사용하기
의문사 + to 부정사는 명사처럼 기능하는 구조로,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로 사용됩니다. 주로 "what," "who," "how," "where"와 같은 의문사가 뒤따라 to 부정사를 이룹니다. 이 구조는 우리가 궁금해하는 행동이나 상황을 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예시:
- What to do next is unclear. (다음에 무엇을 할지 불분명하다.)
- How to solve this problem is still a mystery.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는 여전히 미스터리이다.)
- Where to go for dinner is up to you. (저녁을 어디서 먹을지는 네게 달렸다.)
to부정사가 목적격 보어로 사용되는 경우
to부정사는 문장에서 여러 역할을 하지만, 그중에서도 목적격 보어(objective complement)로 쓰이는 경우는 매우 중요합니다.
어떤 동사는 문장의 목적어만으로는 의미가 완전하지 않아, 그 목적어가 '무엇을 하도록' 만드는 행위를 함께 설명해야 합니다. 이때 to부정사가 목적어 뒤에 붙어 목적격 보어 역할을 하며, 그 사람이나 사물이 해야 할 행동을 보충 설명합니다.
즉, 문장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됩니다:
[주어] + [동사] + [목적어] + [to부정사]
이 구조에서 to부정사는 목적어가 '무엇을 하도록' 시키거나 요청하거나 기대하는 행동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문장의 의미가 완성됩니다.
이런 문장을 만드는 데 자주 쓰이는 동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ask (~에게 ~하라고 요청하다)
- want (~가 ~하길 원하다)
- tell (~에게 ~하라고 말하다)
- advise (~에게 ~하라고 조언하다)
- allow (~가 ~하는 것을 허락하다)
- expect (~가 ~하길 기대하다)
- warn (~에게 ~하라고 경고하다)
- get (~가 ~하게 만들다)
- invite (~에게 ~하라고 요청하다)
- force (~가 ~하게 강요하다)
예문:
- I want him to succeed. (나는 그가 성공하길 원한다.)
- She told me to wait. (그녀는 나에게 기다리라고 말했다.)
- They asked us to join the team. (그들은 우리에게 팀에 합류하라고 요청했다.)
- My parents advised me to study harder. (부모님은 내가 더 열심히 공부하라고 조언하셨다.)
- The teacher allowed us to leave early. (선생님은 우리가 일찍 떠나는 것을 허락하셨다.)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가주어와 가목적어로 사용되는 경우
to부정사는 문장에서 명사처럼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주어, 목적어, 보어 자리에 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to부정사가 문장 맨 앞에 오면 문장이 너무 길거나 무거워 보이기 때문에, 실제 영어에서는 가주어(it)와 함께 가주어 구조 또는 가목적어 구조로 바꾸어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① 가주어 it + 진주어 to부정사
to부정사가 주어 자리에 올 때 자주 쓰이는 표현입니다.
It + be동사 + 형용사 + to부정사
- To learn a new language is important. → It is important to learn a new language.
- To exercise every day is good for your health. → It is good to exercise every day.
- To be honest is sometimes hard. → It is sometimes hard to be honest.
② 가목적어 it + 진목적어 to부정사
to부정사가 목적어 자리에 올 때, 목적어가 너무 길면 가목적어(it)를 사용하여 뒤로 미루는 구조입니다.
주어 + 동사 + it + 형용사/명사 + to부정사
- I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article. (나는 그 기사를 이해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았다.)
- She made it clear to follow the rules. (그녀는 규칙을 따르는 것이 명확하다고 했다.)
- They consider it necessary to change the policy. (그들은 그 정책을 바꿔야 할 필요가 있다고 여긴다.)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와 생략하는 경우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주로 특정 행동의 주체를 명확히 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for + 명사" 구조를 사용하여 부정사 앞에 주어를 나타내지만, 때로는 그 주어가 생략될 수 있습니다.
예시:
- For me to say this would be difficult. (내가 이 말을 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 For him to leave now would be a mistake. (그가 지금 떠나는 것은 실수일 것이다.)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가 생략될 때는 문맥상 누구의 행동인지 명확히 알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 It is important to study hard. (열심히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 She is happy to help you. (그녀는 네가 도와줘서 기쁘다.)
to부정사의 주의해야 할 관용적 표현 10가지
to부정사는 다양한 관용적 표현에서 사용되며, 해석이 직역과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래는 자주 쓰이는 관용 표현 10가지와 그 예문입니다.
- in order to + 동사원형 – ~하기 위해서
She studies hard in order to pass the exam. - so as to + 동사원형 – ~하기 위해서
He left early so as to catch the train. - too ~ to + 동사원형 –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The box is too heavy to carry. - enough to + 동사원형 – ~할 만큼 충분히 ~하다
She is old enough to drive. - be about to + 동사원형 – 막 ~하려 하다
They are about to leave for the airport. - be ready to + 동사원형 – ~할 준비가 되다
I am ready to start the project. - be likely to + 동사원형 – ~할 가능성이 있다
It is likely to rain tomorrow. - be willing to + 동사원형 – 기꺼이 ~하다
She is willing to help us. - be supposed to + 동사원형 – ~하기로 되어 있다, ~해야 한다
We are supposed to submit the report by Friday. - needless to say – 말할 필요도 없이
Needless to say, she passed the test with ease.
to부정사 vs 동명사 차이점
to부정사와 자주 헷갈리는 것이 바로 동명사(동사+ing)입니다. 어떤 경우에 to부정사를 쓰고, 어떤 경우에 동명사를 쓰는지 구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동명사는 동사에 -ing를 붙여 명사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명사이기 때문에 주어, 목적어, 보어 자리에 올 수 있다. 보통 to부정사와 헷갈리는 경우는 목적어 자리에 to부정사를 쓸지 동명사를 쓸지의 선택에서 발생한다.
주요 차이:
- to부정사: 미래 지향적 의미 (아직 일어나지 않은 행동)
- 동명사: 과거 경험적 의미 (이미 했거나 하고 있는 행동)
예시:
- I enjoy reading books. (enjoy + 동명사)
- She admitted cheating on the test. (admit + 동명사)
- They finished cleaning the house. (finish + 동명사)
- He avoided talking to her. (avoid + 동명사)
- We considered moving to another city. (consider + 동명사)
- She wants to travel abroad. (want + to부정사)
- I decided to quit my job. (decide + to부정사)
- He promised to help me. (promise + to부정사)
- They hope to win the game. (hope + to부정사)
- We plan to visit Korea next year. (plan + to부정사)
의미 차이 없이 둘 다 사용 가능한 경우
- I like reading books. / I like to read books. (like + -ing / to부정사: 의미 차이 거의 없음)
- She loves dancing. / She loves to dance. (love + -ing / to부정사: 큰 의미 차이 없음)
- He prefers walking. / He prefers to walk. (prefer + -ing / to부정사)
- They hate waiting. / They hate to wait. (hate + -ing / to부정사)
- I started learning English. / I started to learn English. (start + -ing / to부정사)
의미 차이가 있는 경우
- She remembered locking the door. (= 실제로 문을 잠근 것을 기억했다)
She remembered to lock the door. (= 문을 잠그는 것을 잊지 않고 기억했다) - He stopped smoking. (= 담배를 끊었다)
He stopped to smoke. (= 담배를 피우기 위해 멈췄다. / 이 표현은 목적어가 아닌, 부사적 용법으로 사용된 것이다.) - I forgot meeting her. (= 그녀를 만난 기억이 없다)
I forgot to meet her. (= 그녀를 만나야 한다는 것을 잊었다) - They tried climbing the wall. (= 시도 삼아 벽을 타봤다)
They tried to climb the wall. (= 벽을 타려고 노력했다) - He went on talking about his trip. (= 계속해서 여행 이야기를 했다)
He went on to talk about his family. (= 이어서 가족 이야기를 했다)
정리
to부정사는 영어 문법의 기초이자 필수입니다. 명사적, 형용사적, 부사적 용법을 구분해서 이해하고, 다양한 예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영어 문장에서 to부정사를 찾아보고, 직접 문장을 만들어보는 연습을 해보세요! 꾸준히 연습하면 to부정사는 절대 어렵지 않습니다.
영어 4형식 문장, 3형식으로 바꿀 때 전치사 to와 for 구별법
영어 4형식 문장, 3형식으로 바꿀 때 전치사 to와 for 구별법
4형식 문장을 3형식으로 바꿀 때 전치사 for와 to, 이해하면 쉽습니다!영어를 공부하다 보면 헷갈리는 문법 중 하나가 바로 4형식 문장을 3형식으로 바꾸는 방법입니다. 특히 이때 어떤 전치사(for,
springworld.tistory.com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인 영어 시험 : 토익 토플 텝스 오픽 아이엘츠 PTE GRE GMAT 등 특징 난이도 준비법 (0) | 2025.04.29 |
---|---|
영어 가정법 - 과거, 현재, 미래 그리고 if 없이 가정하는 방법까지 (4) | 2025.04.28 |
It의 쓰임 구분 완전 정리 (표로 한눈에 보기) (0) | 2025.04.27 |
영어 비교급 완전정리: 개념부터 예문까지 한눈에! (6) | 2025.04.26 |
영문법, 관계대명사 정리: 기본 개념부터 쓰임까지 (1) | 2025.04.26 |